설계자 및 시공자를 위한 건축설계 #3 조적 건축# 2

재료
건축에서 사용되는 조적재는 돌, 점토, 규산칼슘, 시멘트, 특수 점토가 대표적입니다.
돌
자연석은 매우 다양한 물성과 품질을 나타내며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풍화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돌의 종류와 원산지는 물론, 채굴 당시의 위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점토
점토를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세라믹은 다양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세라믹의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천연 옥토와 점토입니다. 옥토와 점토의 물성은 점토광물, 석회, 산화철의 함유량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완제품의 색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됩니다.
채취된 옥토는 반죽되고, 으깨어져 중간 창고로 보내집니다. 물과 증기의 작용에 의해 옥토는 가소성 물질로 변하게 되며, 사출 성형을 통해 내부에 적절한 공극을 갖는 띠의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띠는 절단 가공되어 벽돌이나 블록으로 만들어지며,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약 1000°C의 온도로 구워져 완성됩니다. 가열 온도는 주요 원료의 녹는점보다 조금 낮은 정도로 이를 통해 조직을 소결 시키고 경화시킵니다. 점토 재료의 색은 원료의 색에 따라 황색(석회질의 영향)에서 흑적색(산화철의 영향)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외장 벽돌
외장 벽돌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재료입니다. 벽돌의 색과 표면의 질감은 원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표면 마감이 부드럽게 또는 과립이 노출되도록 처리되거나, 거칠게 처리될 수도 있습니다. 벽돌의 3면을 가공 처리한 벽돌과 4면을 가공 처리한 벽돌 등이 있습니다.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빙결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다양한 기상 상태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집니다. 일반적인 벽돌은 이러한 점에서 외부에 노출되기에 부적합합니다.
규산캄슐
규산캄슐을 이용한 재료들은 석회와 규사로 이루어지며 고압으로 경화시켜 만들어집니다. 가열 제작되는 조적에 비해, 규산칼슘재는 치수에 있어 보다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장재를 만드는 데에 있어 이상적입니다. 기본적으로는 회색을 나타내지만 다양한 색으로 생산될 수 있습니다.

시멘트
시멘트 재료는 시멘트와 골재로 만들어지며, 높은 강도를 나타냅니다. 규산칼슘재에 비해 수분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보입니다.
특수 점토 재료
일반적인 조적 이외에도 특수한 제조 및 가공처리 방법을 거쳐 특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재료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수 조적재로는 단열재, 차음재, 고강도재, 외장 벽돌이 있습니다.
기성 제품
구조적인 이유 또는 건물의 외관을 위해 다양한 조적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로는 넓은 스팬의 개구부에 사용되는 속이 비어 있는 상인방, 단열 석자재, 점토로 만든 단열 타일 등이 있습니다.
조적 관련 용어
정의
다음 정의는 "Wasmuths Lexikon der Baukunst"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Penguin Dictionary of Building"과 "British Standard 6100"에서 일부를 참고하였습니다.
점토재료
옥토나 점토를 원료로 하여 가열 경화를 통해 생산되는 벽돌이나 블록, 형태와 크기가 다양합니다.
점토 벽돌, 점토 블록
점토, 옥토 또는 기타 점토질로 만든인공건축 재료로 모래, 석영, 자연 건조시킨 건조 점토 분말 또는 가마에서 가열한 점토 등이 포함되기도 합니다.가열을 통해 만들어진 점토 벽돌은 건축물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경과하며 치수에 있어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고온 가열 벽돌
소결점의 온도로 가열하여 만든 점토 벽돌로 일정 부분 세라믹화된 표면을 나타냅니다. 외장재로 사용되며, 하나의 장변과 하나의 마구리가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품질을 갖도록 제조됩니다.
수평줄눈
벽돌 공사 또는 블록 공사에서 나타나는 수평 모르타르 줄눈입니다. 아치와 볼트에 있어서는 조적의 배열에 따라 형성됩니다.
수직줄눈
벽돌 공사 또는 블록 공사에서 나타나는 벽돌 및 블록 간의 수직 모르타르 줄누느로 외부에서 볼 때 표면에 직립한 줄눈을 형성합니다. 아치와 볼트에 있어서는 조적재의 배열과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장변, 길이
벽돌, 블록 및 조적재에서 길이 방향의 변을 말하며 벽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 접착면의 일부로 작용합니다.
마구리
벽돌 및 블록에서 벽에 직교하는 변으로 두 면이 접착 되어 벽을 형성합니다.
층
벽돌이나 블록이 적층되며 형성하는 평행한 층으로 대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수평적인 줄로 나타나며, 층 사이에는 모르타르 등이 놓입니다. 조적의 배열 방법에 따라 다양한 쌓기 공법이 있습니다.
쌓기치수
조적 쌓기에 있어 한 층과 그 위에 쌓이게 되는층 사이의 맞추어 쌓는 치수를 말합니다.
쌓기
조적의 이란적인 배열 방법으로 위층과 아래층간에서 동일한 부분에 수직줄눈이 형성되지 않도록 엇갈려 쌓는 방법을 말합니다. 올바른 조적을 위해서는 조적재의 장변이 폭의 두배에 수직줄눈의 두께를 더한 것과 간아야 합니다.
조적공사
돌, 벽돌, 블록을 재료로 하는 공사를 말합니다.
벽
일반저긍로 돌, 벽돌,, 블록 또는 기타재료를 접착제로 결합하거나 접착제 없이 공사하여 만들어지는 건축 요소를 뜻하며,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이끼나 펠트 또는 유사재료를 사용한 벽은 건식벽이라 부릅니다.
높이와 기능에 따라 기초, 주초, 슬라브, 울타리벽 등으로 나뉩니다. 이는 또한 외피와 외벽, 내벽과 파티션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장선과 보 등의 하중을 지탱하는 벽은 내력벽이라 합니다. 횡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벽의 경우 옹벽이라 부릅니다.